SAP 시스템을 비롯한 일반적인 시스템은 보통 개발, 검증(품질), 운영과 같은 3 Landscsape로 구성됩니다.
( 일부 경우에 따라서 검증(품질)절차가 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. )
CTS는 이러한 시스템의 구조에서 시스템의 반영을 위해 사용되는 개념입니다.
개발서버에서 수정한 내용(변경사항)을 CTS를 통해 검증서버로 반영하며, 검증서버에서 다시 테스트 후 운영서버에 반영합니다. 즉 CTS는 SAP 시스템의 버전관리 시스템입니다.
변경사항을 CTS를 통해 반영하기 위해서는 Change Request를 생성하여 릴리즈 해야합니다.
Change Request는 클라이언트 단위로 발생합니다.[100 클라이언트(개발) ▶ 200 클라이언트(품질)과 같은 순서]
T-CODE : SE01( Transport Request 관리 )
버전의 복구방법은 T-CODE : SE80
유틸리티 ▶ 버전 ▶ 버전관리 ▶버전체크후 복원
TMS는 Transport Management System를 의미하며 CTS안에 존재하는 관리 시스템입니다. ( 소스코드 업로드 )
TMS를 통해 Transport Domain및 System Landscape를 생성&구성 관리합니다.
T-CODE : STMS
Package는 Development Class라고 불리며 오브젝트를 기능별로 관리하는 개념을 말합니다.
https://continuetochallenge.tistory.com/50
SAP CTS, TMS 개념 및 설정 방법
SAP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CTS를 넘긴다, 차 태운다, CTS 딴다 뭐 이런 얘기들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CTS가 무엇인지, 그리고 이에 따라 접하게 되는 TMS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��
continuetochallenge.tistory.com
SAP Package & CTS 이란?
우선 CTS란 무엇인가? 약자부터 살펴 보면 CTS(Change and Transport System)이 되겠다. CTS는 개발서버에서 변경된 사항을 운영 서버에 반영하거나 고객 환경에 적합하도록 커스터마이징하는데 사용하는 T
goodd.tistory.com
'IT > SAP S4 HAN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AP] SAP GUI 설치후 셋팅방법. (0) | 2021.01.06 |
---|---|
[SAP] CDS - Core Data Services & OData (0) | 2020.08.12 |
[SAP] S/4 HANA CM module (Customer Management) (0) | 2020.08.07 |
[SAP] ABAP - CALL SCREEN (0) | 2020.04.21 |
[SAP] ABAP - 기본적인 구문 ( SELECTION SCREEN & EVENT 관련 ) (0) | 2020.04.21 |
댓글